Dive into Web Accessibility

웹 접근성 용어를 보며

granpa CLOCK 2021. 12. 8. 00:03
대략 알고 있었지만 다시 읽어보니 새롭다.

 

 

눈 길

 

한국형웹콘텐츠접근성지침서를 보는 중, 용어 정의를 보니 사뭇 색다르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 중에서도

개인적으로 의미 있었던 몇가지 용어와 핵심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용어 정의
공백 문자 아무런 정보도 가지고 있지 않은 문자열을 의미한다.
공백 문자를 화면 낭독 프로그램(screen reader)을 사용하여 읽으면 아무런 소리도 나지 않는다.
광과민성 증후 빛의 깜빡거림에 의해 발작을 일으키는 증상을 말한다.
초당 20 회 부근의 번쩍거림이 발작을 가장 잘 일으키는 주파수로 알려져 있다.
레이블 모든 사용자 입력의 용도 또는 역할에 대한 설명을 레이블이라 한 다.
배경 이미지 배경 이미지는 제거하더라도 콘텐츠의 이해와 사용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배경 이미지를 제거하여 콘텐츠의 이해가 불가능하거나 사용이 어려운 콘텐츠는 배경 이미지가 의미하는 정보를 보조 기술로 전달하도록 구현해야 한다.
보조 기술 장애를 지닌 사용자의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는 기능을 추가하여 제공하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대표적으로 화면 낭독 프로그램(screen reader), 화면 확대 프로그램, 특수 키보드 등 을 들 수 있다.
적절한 제목 콘텐츠의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당 주제나 목적을 간단 명료하게 표현한 명칭을 의미한다.
초점 (focus) 웹 페이지 안에서 프로그램에 의해 또는 사용자의 행위(예 : 탭 (tab) 키를 이용한 이동)에 의해 어떤 요소(element)가 선택되었을 경우에 초점이 그 요소에 있다고 말한다. 또한 어떤 요소가 선택되 었다는 것은 그 요소가 사용 가능 상태임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응용 소프트웨어(웹 브라우저 포함)에서 초점을 받은 요소는 다른 요소와 구분할 수 있게 밑줄을 보이게 하거나, 테두리를 씌우거나 또는 색을 변경하는 등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콘텐츠의 선형 구조 구조 웹 페이지의 모든 콘텐츠는 시각적인 2 차원 공간의 상하좌우로 배치되어 있어서 원하는 곳을 바로 찾아가거나 그 기능을 바로 선택 하여 실행할 수 있다. 그러나 화면 낭독 프로그램 사용자는 모든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각적인 배치가 아닌 읽어주는 순서가 중요하다. 여기서 콘텐츠가 보조 기술로 제공되는 순서를 콘텐츠의 선형 구조라고 하며 이 구조는 논리적이어야 한다.

 

모르고 있던 용어, 혹여 알고 있던 용어라고 해도

접근성의 입장에서 용어를 다시 보니,

내가 웹을 만들 때, 무엇을 고려해야 할지 알게된다.

 

'스크린 리더기'를 직접 사용해 보았는가?

나는 '윈도우 내래이터'를 이용해서 페이지를 읽어 본 경험이 있다.

모든 '스크린 리더기'가 같지 않겠지만,

 

여전히

적어도 '윈도우 내래이터'가 충분한 기술이라기엔 부족한 듯하다.

이것을 보완하기 위해,

위에 정리한 용어들을 보며,

'불편함'을 조금이라도

개선시키는

개발자가 되자.

 

 

참고로 '윈도우 내래이터'를 키고 끄는 단축키는

'Windows logo key + Ctrl + Enter'이다.